2025 구글 주가 전망 및 상승 예측 총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구글은 검색 엔진, AI, 클라우드 시장의 글로벌 리더로써 2025년 1분기 호실적과 7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발표로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반독점 규제와 AI 경쟁 심화는 단기 리스크로 남아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지금부터 구글에 모든것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는 시간 가져보겠습니다! 끝까지 읽어보시고 투자에 도움받아가세요!
목차
구글 기업 분석
▶ 시가총액 : 약 $1.94조로 기술주 중 애플에 이어 2위.
▶ 연초 대비 수익률 : 2025년 들어 약 +14% 상승, S&P 500(+10.14%) 대비 소폭 강세.
▶ 최근 흐름 :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 시 $70B 자사주 매입 소식으로 시간외 거래에서 상승하였으나 현재는 반독점 규제 우려로 조정 중에 있음.
★ 구글 주가는 자사주 매입과 클라우드 성장 기대감으로 단기 반등을 시도했지만 규제와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상승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현재 악재 분석
구글은 강력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지만, 단기 주가를 압박하는 악재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반독점 규제 : 미국 법무부의 검색 시장 독점 소송과 EU 디지털시장법은 광고 수익에 지속적으로 위협하고 있습니다. 2025년 4월 미국 법무부가 광고 사업 분할을 재차 요구하며 불확실성 증대 중에 있어 우려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2. AI 경쟁 심화 :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 xAI의 AI 기술 발전이 제미나이 2.5의 시장 점유율을 위협하고 있으며 제미나이의 초기 성능 논란으로 투자자 신뢰 약화된 상태입니다.
3. 광고 수익 둔화 :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관세로 아시아 소매 광고주 예산 축소되어 2025년 광고 성장률이 8~10%로 제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4. DOGE 정책 영향 : 현재 미국 내 DOGE 정책으로 미국 정부 클라우드 지출 25% 감소되었다고 추정되고 있으며 구글 클라우드 시장 매출에도 단기적으로 타격받고 있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5. AI 투자 비용 : 2025년 $75B AI 투자로 단기 마진이 압박받았으며 1분기 자본 지출 $17.2B 중 대부분이 AI 인프라에 투입되었습니다.
★ 이러한 악재들은 단기 변동성을 키우지만 긴 시계열을 가지고 바라보았을 때 구글의 장기 성장 기반은 견고합니다.
자사주 매입의 장단점
2025년 4월 구글은 $70B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시간외 거래에서 5% 상승했었습니다. 장단점을 함께 비교해보는 시간 가져보겠습니다.
▶ 장점
1. EPS 상승 : 주식 수 감소로 EPS 약 3~5% 증가. 2025년 1분기 EPS $2.81(조정 $2.27)은 자사주 매입 효과 일부 반영.
2. 주주 가치 제고 : P/E 비율 15.6(1년 평균 20보다 낮음)은 저평가 인식. 2023년 $70B 매입 후 주가 3% 상승 사례 참고.
3. 세금 효율성 : 배당(세율 15~20%) 대비 자본이득세(매도 시 최대 20%)로 주주 부담 감소.
4. 주가 안정화 : 시장 변동성 시 수요 창출로 하락 방어. 2024년 4분기 $15.1B 매입이 주가 안정화에 기여.
▶ 단점
1. 기회비용 : $70B는 제미나이 2.5, AI5 칩, 클라우드 확장에 재투자 가능. AI 경쟁 심화로 R&D 우선순위 논란.
2. 단기 효과 제한 : 자사주 매입은 일시적 부양 효과에 그칠 수 있음. 광고 및 클라우드 성장 없이는 지속성 약화.
3. 세금 부담 : 2022년 인플레이션 감축법으로 자사주 매입에 1% 세금 부과.
4. 부채 리스크 : 현금 보유고($108B, 2024년 12월)로 충당 가능하나, 추가 매입 시 부채 활용 가능성.
★ 자사주 매입은 단기 주가 부양에는 효과적이지만 실질적으로 AI와 클라우드 투자와의 균형이 필요합니다.
최근 어닝 분석
이번 구글의 2025년 1분기 어닝은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며 주가 상승을 뒷받침했습니다. 최신 실적과 이전 분기의 실적을 비교해보겠습니다.
▶ 2025년 1분기 실적
매출 : $90.23B(전년 대비 +12%), 예상 $89.12B 상회.
EPS : $2.81(전년 $1.89, +49%), 예상 $2.01 상회. 조정 EPS $2.27(비시장성 증권 미실현 이익 $8B 제외).
영업이익 : $30.61B(+20%), 영업이익률 34%(전년 32%).
순이익 : $34.54B(+46%).
<부문별>
→광고(검색+기타): $66.89B(+8.5%), 검색 $50.7B(+9.8%).
→ 유튜브 광고: $8.93B(예상 $8.97B 근접).
→ 클라우드: $12.26B(+28%), 영업이익률 17.8%(전년 9.4%).
→ 기타 벳츠(Waymo 등): $450M(-9%), 손실 $1.23B.
▶ 2024년 4분기 비교
매출: $96.47B(+12%), 1분기 대비 -6.4%(계절적 요인).
EPS: $2.15(+31%), 1분기 대비 +30.7%(미실현 이익 포함).
클라우드: $11.96B(+30%), 1분기 대비 +2.5%.
광고: $54.03B(+12.5%), 1분기 대비 +23.7%(휴일 시즌 효과).
▶ 어닝콜 핵심 발언
CEO 순다르 피차이는 제미나이 2.5와 AI 오버뷰로 검색과 AI 경쟁 선두 유지라고 밝혔으며 2025년 클라우드 매출 비중이 15%가 목표라고 강조했습니다. CFO 아나트 아쉬케나지는 $75B AI 투자로 데이터센터의 확장 지속이라는 뜻을 밝혔습니다.
▶ 2분기 전망 : 매출 $92B$94B, EPS $2.90$3.00. 클라우드 성장과 광고 회복이 핵심 변수로 클라우드와 AI 오버뷰의 성장이 광고 둔화를 상쇄하며 다각화 전략이 효과를 보고 있다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구글 목표 주가
월가의 애널리스트들은 구글의 AI와 클라우드 성장에 주목하며 긍정적 전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각 애널리스트의 목표주가를 함께 보겠습니다.
▶ Morgan Stanley : $220, ‘비중 확대’, 클라우드와 AI 성장.
▶ JPMorgan : $215, 자사주 매입과 광고 회복.
▶ Goldman Sachs : $225, 제미나이 2.5 영향력.
★ 월스트리트 컨센서스 : 평균 $202~$225, 매수 80%, 평균 목표가 $202.96(현재 주가 대비 +27%).
구글 차트 분석
구글 주가에 대해 단기, 중기, 장기 관점을 차트 분석을 기준으로 한번 세워보겠습니다!
▶ 일봉 차트
일봉 차트에서 160달러 부근을 지지선으로 작용받고 있으며 저항선은 170달러 부근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160달러를 깬다면 148달러 부근까지는 열려있다고 보이고, 170달러를 강하게 돌파해준다면 185달러까지는 무난히 도달할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 주봉 차트
주봉 차트에서 152달러 부근을 지지삼아 반등되고 있으며 168달러 돌파 시 190달러까지는 무난하게 갈 수 있을거라 보고 있습니다. 주봉 상으로는 조금 더 지켜보아야 할 자리라 생각합니다.
▶ 월봉 차트
월봉 차트 시 이제 바닥을 다지는 중으로 보이며 181달러 부근의 저항선을 깨준다면 전고점까지는 어렵지 않게 상승할 수 있을거라 보입니다. 4월봉 마감 후 5월봉까지도 현재가를 잘 지켜주면서 올라가주면 상승전환했다 생각하고 진입해도 괜찮은 자리 같습니다.
구글 주가 전망 호재
구글 주가 전망을 좋게 보고 있는 주요 호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AI 기술 선도 : 제미나이 2.5와 AI5 칩(삼성 4nm)으로 AI 시장 확대. AI 오버뷰 월 사용자 15억, 2025년 AI 매출 $50B 목표.
2. 클라우드 성장 : GCP는 AWS, Azure 대비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점유율 확대. 2025년 매출 비중 15% 목표, 영업이익률 17.8% 지속 개선.
3. 웨이모 자율주행 : 웨이모 로보택시 2025년 미국 5개 도시 및 도쿄 확장, 주당 25만 건 유료 탑승.
4. 유튜브 구독 : 프리미엄/뮤직 구독자 1.25억 명 돌파, 광고 외 수익 다변화.
5. Wiz 인수 : 2025년 $32B 인수 완료 시 클라우드 보안 강화, 다중 클라우드 수요 증가.
마무리
지금까지 구글 주가 전망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구글은 AI와 클라우드 시장의 리더로, 2025년 1분기 호실적과 자사주 매입으로 단기 모멘텀을 확보했습니다. 구글 주식 투자를 고려 중이라면 최신 실적과 앞으로의 호재 그리고 차트 흐름을 주시하며 전략을 세워보세요! 성공투자를 기원합니다:))